전기가 보여진다
전기!
보이진 않지만 보입니다
12V 축전지 전기를 정비하다가 이제는 고전압을 정비하니
고전압은 매우 ! 더욱 ! 위험하다! 그러므로 주의하며 안전 장비를 착용한다
그...런...데...
없어서 못하고 있어도 안전장비 착용안한다
안전 불감증

제원

파워케이블

주의

스캐너제어

DC고전압
DC케이블에 스캐너를 조작하여 작동하면 전압이
매우높게 측정되었다
위험수준이다
DC케이블을 탈거하면 인터락이 자동으로 이탈되어 실행되며
HPCU 에서 2핀으로 되어있고 커넥터 자체는 1핀을 유지 체결시 인터락이
도통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발전기케이블

스페셜공구

교품 발전기 HSG

측정데이터
교육때 에전 교품을 들고와 측정해보니 정상으로 판정되었는데
문제점은 몰것군요

실차HSG

실차HSG 데이터
실차의 하이브리드 발전기어ㅣ 스타터모터 코일의 3상 을 측정하는 시간은
불과 5분이내인데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중
PICO MT03A 장비를 사용하면 매우 쉽고 신속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수 있었다

모터

모터데이터
MOTOR 역시 신속한고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수 있었으며
이차량은 신차이므로 참조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실차배터리커넥터

고전압커넥터탈거

메인퓨즈덥개

메인퓨즈
동승석 하단 언더커버를 탈거하면 M6볼트 탈거후 메인퓨즈를 확인할수
있으며
BC 20000A 라는 수치는 순간적인 A의 전류량이 초과되는경우
단선이 될수있는 범위라는 설명이 있다

배터리탈거후

고전압배터리탈거후
이게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실내에서 오몀된 먼지등 이물질이 막힘이 없어야 한다

배터리 커버탈착후
배터리 고전압을 탈거후 위 우측 릴레이박스 좌측 BMS 모듈
아래통풍구가 있는 부분이 고전압 배터리 DC이며 기밀은 EV차량과 비교가 안된다
EV차량은 배터리 탈착후 장착전 기밀 확인이 필수지만
큰 걱정이 안되며 다만 운전중
물가를 도강하는 정도는 어렵다 타이어휠반쯤이상은 위험할 정도
보증은 배터리는 10년에 20만 KM일지라도 배선 커넥터 또는 고전압
배터리에 들어있는 릴레이박스 이상은 3년에6만으로 볼수있다는 판단이니
주의하는게 맞습니다
(릴레이 박스 안에는 20W 40Ω의 시멘트 저항이 있습니다)
시멘트저항 구매는 단품불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